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지연

사지연

교수진

사지연 조교수

Sah, Jeeyeon

전공소비자학
연구실소비자정책연구실
연락처02 - 880 - 6822
이메일sahjeeyeon@snu.ac.kr
학력사항

2016

서울대학교 대학원 소비자학과 소비자학 전공 박사

2012

서울대학교 대학원 소비자학과 소비자학 전공 석사

2010

서울대학교 소비자아동학부(소비자학 전공) 학사

주요 경력

2024 – 현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조교수

2016 – 2024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실 정책연구위원

2014 – 2016

서울대, 안동대, 동국대 비전임 강사
학회 활동

2024 – 현재

  • 한국소비자학회 이사

2022 – 현재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이사

교외 활동

2025 – 현재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정책 종합시행계획 추진실적 전문평가 위원

2025 – 현재

공정거래위원회 한국소비자원 서비스 비교조사 평가 및 검증 위원

2023 – 현재

행정안전부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 전문가 검토 위원

저서 및 연구 보고서
  • 사지연ㆍ송민수(2022), 소비자정책 기본계획 추진체계 개선방안 연구,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22-10.
  • 사지연(2021), 소비자정책 기본계획의 평가 및 환류 기능 강화 방안 연구,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21-16.
  • 여정성ㆍ신세라ㆍ사지연(2020), 소비자정책: 이론과 정책설계, 교문사 
    * 2021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사지연ㆍ허민영(2018), 소비자안전지표 개발 및 산출 방안 연구,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18-20.
  • 사지연(2017), 사물인터넷 관련 개인정보 관리에서의 소비자권익 강화 연구,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17-14.
연구논문
  • Sah, J., & Jun, S. (2024). The role of consumers’ privacy awareness in the privacy calculus for IoT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40(12), 3173-3184.
  • 구명진ㆍ사지연 (2024). 중ㆍ고령 소비자의 디지털 조력자 활용과 거래 행동: 모바일 거래 환경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35(2), 1-25. 
  • 장연주ㆍ사지연 (2023). 온ㆍ오프라인 쇼핑채널 이용행동의 개인적ㆍ지역적 격차와 결정요인.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9(4), 47-73.
  • 사지연ㆍ여정성 (2021). 기술위험에 대한 소비자의 낙인화 해소방안 연구: GMO에 대한 감성적 소구 전략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32(1), 97-121. 
  • 사지연ㆍ여정성 (2020). 식품위험에 대한 소비자친화적 위험 커뮤니케이션 소구 방안 연구: 낙인해소와 주의촉구의 측면에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6(4), 29-50.
  • Sah, J. Y., & Yeo, J. S. (2020). How to Design a Consumer-friendly Strategy for Food Risk Communication. 한국위기관리논집, 16(5), 111-131.
  • 여정성ㆍ사지연ㆍ고대균ㆍ구명진ㆍ이선명 (2017). 우리나라 소비자단체 현황 분석과 소비자운동을 위한 제안. 소비자학연구, 28(5), 115-135.
  • 여정성ㆍ사지연ㆍ이선명 (2017). 제품안전 분야에서의 소비자안전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현행 제도와 운영실태 분석 연구. 소비자학연구, 28(2), 159-187.
  • 손지연ㆍ사지연 (2017). [한국의 소비자역량지표] 의 타당화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48(1), 81-107. 
  • 사지연ㆍ여정성 (2014). 영양표시유형에 따른 소비자반응의 효율성과 적합성.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0(4), 217-245. 
  • 사지연ㆍ여정성 (2014). 소비자불안의 수준과 영향요인: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첨가물, 광우병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5(1), 145-172. 
  • 사지연ㆍ여정성 (2013). 식품의 기술적 위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수준 비교분석: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첨가물, 광우병을 대상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9(4), 1-28.
연구과제
  • 소비자지향적 디지털 신기술 시장환경 조성 방안 연구 (2024~2026). 서울대학교
  • 2023 제6차 소비자정책 기본계획 수립 및 추진과제 발굴 연구 (2023). 공정거래위원회.
  • 위해분석기능 강화를 위한 CISS 데이터 개선 방안: 분석방법론 개선을 중심으로 (2019). 한국소비자원.
  • 제4차 소비자정책 기본계획(2018~2020) 수립 방향 연구 (2017). 공정거래위원회.
  • 중장기 소비자정책 방향성 및 정책의제 연구 (2016). 한국소비자원.
  • 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소비자단체 제도 정비를 위한 소비자기본법 개정 방안 연구 (2015). 공정거래위원회.
기고문
  • 사지연(2025). 소비자가 원하는 AI, SK mySUNI
  • 사지연 (2022). 신 정부 국정과제 내 소비자정책 유관 내용과 대응 방안.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정책동향 제125호
  • 사지연 (2022). 2022년 정부 업무계획 상의 소비자정책 유관 과제와 시사점.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정책동향 제119호.
  • 사지연 (2018). 날로 발전하는 스마트홈 서비스, 편리함 그 이상의 안전성 갖춰야,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시대.
  • 사지연 (2018). 소비자의 개인정보 자기관리 활성화 방안.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정책동향 제92호.
  • 사지연 (2018). OECD CCP 주요규범 개정논의와 최신 의제.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정책동향 제89호.
  • 사지연 (2017), 제4차 산업혁명의 성공 조건, 소비자. 서울파이낸스 전문가기고.
  • 이금노ㆍ사지연 (2017). 2017년 부처별 소비자 관련 정책 추진 계획과 시사점.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정책동향 제77호.
  • 사지연 (2016). 생활화학제품 표시제도의 국내외 현황과 소비자관점의 시사점.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정책동향 제74호.
발표 및 강연
  • 2018, 2023, 2025 “글로벌 소비자정책 트렌드”, 한국소비자원-한국국제협력단(KOICA) 개발도상국 소비자전문가 연수, 강연.
  • 2024.12. “인간화된 AI 서비스에 대해 고객은 어떻게 반응하는가?”,SK mySUNI Customer Meetup, 강연.
  • 2024.10.”탄소중립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와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현대자동차 탄소 중립 컨퍼런스, 강연.
  • 2022.10. “소비자안전사고 관리 현황과 CISS”.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전문가 세미나, 특강.
  • 2018.5.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자기관리 활성화 방안”. 한-독 스마트폰 소비자보호포럼 (주최: 한국소비자원, 독일연방법무소비자보호부, 독일국제협력공사), 발표.
  • 2018.1. “소비자안전 관련 최신 정책동향과 제언”.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융합연구팀 세미나, 특강.
장학 및 수상
  • 2022 한국소비자학회 우수논문상
  • 2014 – 2016 한국연구재단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 Global Ph.D Fellowship
  • 2014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최우수논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