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NATIONAL UNIVERSITY
검색창 닫기

소비자학과 대학원 모집안내

1. 지원자격

가. 석사과정

  1. 국내·외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학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2. 위 1.에 해당하는 자로서 TEPS 또는 TOEFL [정기시험]에서 모집단위별로 정한 일정점수이상의 성적을 취득한 자

가) 지원가능 영어점수

지원가능 영어점수
모집단위 TEPS 점수 TOEFL
IBT
소비자학과 601점 이상(개정 TEPS 327점 이상) 96점 이상
* 2023학년도 모집부터 상향조정됨
※ 개정 TEPS 점수는 2018. 5. 12. 시행 제248회 시험부터 적용됨
※ 지원서 접수마감일 기준 2년 이내 응시하여, 서류제출일까지 성적을 제출한 경우(자세한 시험 일자 등은 입학본부 공식 모집 안내 파일 참고)로서, 입학지원서에 기재한 성적만 유효함. 다만, 본교에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성적(“본교 대학원 입학 시 또는 논문제출자격시험에서 인정받은” 석사학위자의 영어성적)은 유효기간(2년)을 예외 적용하되, 지원서 접수마감일 기준 10년 이내 응시 성적만 인정 가능
⇒ 해당 성적(응시회차 및 점수)은 출신 단과대학 교무행정실에서 확인 가능하며, 원서 작성시 기재하여야 함
※ TOEFL 점수 중 MyBest Scores를 제출하고자 하는 경우, 4개 영역 중 응시일자가 가장 이른 영역의 응시일자를 적용하여 지원서 접수마감일(2022. 10. 7.)을 기준으로 유효기간(2년)을 산정함

나) 영어권 대학(원) 졸업(예정)자의 영어성적 인정
※ 영어성적 제출이 면제된 최종합격자는 출신 영어권 대학(원)의 졸업(학위)증명서와 해당 증명서에 대한 아포스티유 또는 영사확인을 제출해야 함
 


나. 박사과정
  1. 국내․외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2. 위 1.에 해당하는 자로서 TEPS 또는 TOEFL [정기시험]에서 모집단위별로 정한 일정점수이상의 성적을 취득한 자

가) 지원가능 영어점수

지원가능 영어점수
모집단위 TEPS 점수 TOEFL
IBT
소비자학과 601점 이상(개정 TEPS 327점 이상) 96점 이상
* 2023학년도 모집부터 상향조정됨
※ 개정 TEPS 점수는 2018. 5. 12. 시행 제248회 시험부터 적용됨
지원서 접수마감일 기준 2년 이내 응시하여, 서류제출일까지 성적을 제출한 경우(자세한 시험 일자 등은 입학본부 공식 모집 안내 파일 참고)로서, 입학지원서에 기재한 성적만 유효함. 다만, 본교에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성적(“본교 대학원 입학 시 또는 논문제출자격시험에서 인정받은” 석사학위자의 영어성적)은 유효기간(2년)을 예외 적용하되, 지원서 접수마감일 기준 10년 이내 응시 성적만 인정 가능
⇒ 해당 성적(응시회차 및 점수)은 출신 단과대학 교무행정실에서 확인 가능하며, 원서 작성시 기재하여야 함
※ TOEFL 점수 중 MyBest Scores를 제출하고자 하는 경우, 4개 영역 중 응시일자가 가장 이른 영역의 응시일자를 적용하여 지원서 접수마감일(2022. 10. 7.)을 기준으로 유효기간(2년)을 산정함

나) 영어권 대학(원) 졸업(예정)자의 영어성적 인정

※ 영어성적 제출이 면제된 최종합격자는 출신 영어권 대학(원)의 졸업(학위)증명서와 해당 증명서에 대한 아포스티유 또는 영사확인을 제출해야 함


 

2. 사정원칙

가. 전형요소 및 배점

전형요소 및 배점
구분 전형 총점 전공 필답고사 면접 및 구술고사 서류심사
석사 소비자학과 200 - 140 60
박사 소비자학과 200 - 140 60

나. 과락기준 : 아래 점수 미만이 과락임 [( )안은 비율(%)임]

과락기준
구분 전공 필답고사 면접 및 구술고사 서류심사
석사 소비자학과 - 84(60) 24(40)
박사 소비자학과 - 84(60) 24(40)

다. 결격기준

  1. 전형요소 중 하나 이상이 결격(결시)인 자
  2. 입학지원서에 기재한 선택과목이 아닌 타 과목에 응시한 자
  3. 전형에 필요한 서류(학부․학과에서 요구한 서류 포함)를 제출하지 아니한 자
  4. 부정행위자
  5. 제출서류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자

라. 선발방법

  • 면접 및 구술고사, 서류심사 성적을 합산하여 총점순으로 합격자를 선발함.

3. 구술고사 시험과목(2022.10.31.자 업데이트)

과락기준
구 분 시험과목 선택 과목 수
석사과정 소비자교육론, 소비자재무설계, 가계경제론, 소비자행태론, 소비자정책론, 소비자정보론, 소비자빅데이터분석 (총 7과목 중) 3과목
박사과정 소비자교육특강, 가계경제특론, 소비자행태특론, 소비자정책특론, 소비자정보특론, 가계복지정책특강, 소비자와 데이터기반의사결정 (총 7과목 중) 3과목

<소비자학과 대학원 입시 구술고사 관련 참고문헌 목록>(2022.10.31.자 업데이트)

■ 소비자교육론 
  ● 이기춘⋅김정은(2012), 소비자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교문사.

■ 소비자교육특강 : 
  ● 이기춘⋅김정은(2012), 소비자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교문사. 
  ● 박명희 외(2011), 누가 행복한 소비자인가, 서울: 교문사.

■ 소비자정책론: 
  ● 소비자기본법, 여정성 외(2008), 소비자와 법의 지배,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 서문, 제9장

■ 소비자정책특론: 
  ● 소비자기본법, 여정성 외(2008), 소비자와 법의 지배.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 제1장, 제6장, 제9장, 제11장, 제12장

■ 소비자재무설계
  ● 박광수, 양재영, 주소현(2014). 개인재무설계. 경문사. 

■ 소비자행태(특)론
  ●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 (이상률 역, 문예출판사)
  ● 프레데리크 페르넹, <쇼핑의 철학> (백선희 역, 개마고원)

■ 소비자정보(특)론
  ● Maynes, E. S. and Assum, T. (1982). “Informationally imperfect consumer markets: Empirical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Consumer Affairs, 16(1), 62-87.
  ● Rezabakhsh, B., Bornemann, D., Hansen, U., & Schrader, U. (2006). Consumer Power: A Comparison of the Old Economy and the Internet Economy. Journal Of Consumer Policy, 29(1), 3-36. 
  ● Sridhar Moorthy, Brian T. Ratchford, Debabrata Talukdar; Consumer Information Search Revisited: Theory and Empirical 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97; 23 (4): 263-277
  ● OECD 보고서. Enhancing competition in telecommunications. https://www.oecd.org/sti/consumer/40679279.pdf
  ● 최지원, 전윤선, & 나종연. (2015). 정보통신기술 (ICT) 환경 변화에 따른 소비자 역할 확대에 대한 소고.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1(4), 55-78.

■ 가계경제론 
  ● 이승신, 김기옥, 김경자, 심영, 정순희(2003). 가계경제분석. 서울:신정.

■ 가계경제특론
  ● Bryant, W.K. & Zick, C.D.(2006). The Economic Organization of the Household 2nd ed.,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장-5장).
  ● 이준구 (2008). 미시경제학 (제5판), 서울: 법문사. (1장-7장)

■ 가계복지정책특강
  ● 이인재, 류지석, 권문일, 김진구 (2010). 사회보장론 개정3판. 나남

■ 소비자빅데이터분석(석사)(2022.10.31.자 업데이트)
  ● Delen, D.(2016). 데이터마이닝: 데이터를 정보로 정보를 지식으로 변환 (허선 신동민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서출판 2014)

■ 소비자와 데이터기반의사결정(박사)(2022.10.31.자 업데이트)
  ● Lynch Jr, J. G., Alba, J. W., Krishna, A., Morwitz, V. G., & Gürhan-Canli, Z. (2012). Knowledge creation in consumer research: Multiple routes, multiple criteria.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22(4), 473-485.
  ● Mayer, R. N. (2008). Measuring what really matters to consumers. Journal of Consumer Affairs, 42(1), 113-122.
  ● Cowls, J., & Schroeder, R. (2015). Causation, correlation, and big data in social science research. Policy & Internet, 7(4), 447-472.
  ● Angrist, J. D., & Pischke, J. S. (2014). Mastering metrics: The path from cause to effect. Princeton university press. Chapter 1&2

 

4. 지원서 접수 및 모집안내: 온라인 접수(서울대 홈페이지 > 입학 > 대학원입학 으로 접속하여 지원)

수정요청

현재 페이지에 대한 의견이나 수정요청을 관리자에게 보내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빈 칸에 내용을 간단히 작성해주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