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은 가입자의 투자 의사결정이 은퇴시점의 자산규모를 결정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나 DC형 가입자들은 자신의 퇴직연금을 관리하는데 매우 소극적인데 착안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DC형 퇴직연금 가입자들의 퇴직연금 관리역량과 관리행동을 규명하고 현황을 파악하고 퇴직연금 관리역량과 심리적 편향이 퇴직연금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C형 퇴직연금 가입자에게 필요한 관리지식 및 관리기능의 세부 내용을 규명하기 위해 Wiggins & McTighe(1998)의 백워드 설계(Backward Design)의 지식의 위계구조 정리 방법(빅 아이디어, 핵심 지식, 친숙할 필요가 있는 내용)을 차용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DC형 퇴직연금 가입자의 퇴직연금 관리역량 수준은 100점 만점에 74점으로 나타났으며 관리태도가 76.3점으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관리지식이 73.3점, 관리기능이 67.9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행동의 경우 1단계인 관리 목표 수립 및 점검 행동이나 3단계인 관리 실행 행동의 경우 행동을 하는 가입자보다 하지않는 가입자가 더 많았으며 2단계인 관리방법 탐색 및 비교 행동의 경우 다른 관리 단계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정보 탐색 행동을 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관리행동 4단계인 관리 성과 평가 행동의 경우 가입자들이 관리 성과를 정기적으로 확인은 하면서도 확인한 결과를 투자 포트폴리오에 반영하는 행동에는 소극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DC형 퇴직연금 관리역량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관리행동뿐만 아니라 관리행동의 각 단계 모두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퇴직연금 관리역량이 높을수록 퇴직연금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며 이는 퇴직연금 관리를 위한 모든 단계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퇴직연금 관리역량이 높을수록 더 적극적으로 퇴직연금 관리목표를 수립하고 점검하며, 관리방법을 비교탐색하고, 실행 및 관리성과 평가도 더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퇴직연금 관리역량의 수준이 높을수록 관리행동 수준이 높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한 것으로 DC형 퇴직연금 가입자의 적극적인 퇴직연금 관리행동을 위해 퇴직연금 관리역량 제고가 필요함을 입증하는 실증적 근거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퇴직연금 관리역량이 퇴직연금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적 편향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관리행동 2단계인 관리방법 탐색 및 비교 행동에서 자기과신의 조절효과가, 관리행동 4단계인 관리 성과 평가 행동에서 현상유지 편향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ubscribers of defined contribution(DC) retirement pensions are very passive in managing their pensions despite the investment decisions determining the asset size at the time of retirement. This study examined the retirement pension management capability and behavior of DC subscriber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determine the effect of the retirement pension management capability and psychological bias on the retirement pension management behavior. The Wiggins & McTighe (1998) method of organizing the hierarchy of knowledge(big ideas, core knowledge, and content that needs to be familiar) was used to clarify the details of management knowledge and management skill required for DC subscrib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vel of retirement pension management capability of the DC subscribers in Korea was 74 points (out of 100 points), with the highest management attitude of 76.3 points, followed by management knowledge of 73.3 points and management skill of 67.9 points. In the case of management behavior, more subscribers did not act than those who did in the first stage (management goal setting and checking behavior) or in the third stage (management execution behavior). In the second stage (management method search and comparison behavior), the information search behavior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management stages. In the fourth stag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behavior), the subscribers regularly check the management performance but are passive in reflecting the results in their investment portfolios.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DC retirement pension management capability on management behavior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management behavior and each stage of the management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retirement pension management capability, the more actively the retirement pension is managed. This is commonly applied to all stages of retirement pension management. The methods were compared and searched, and the execu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s were more active. These results confirm that a higher level of retirement pension management capability indicates a higher level of management behavior. Moreover,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n empirical basis to prove that retirement pension management capability needs to be improved for active retirement pension management behavior.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bias on the effect of retirement pension management capability on retirement pension management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fidence in the second stage(management method search and comparison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atus quo bias in the fourth stage(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behavior) were confi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