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사회초년생의 은퇴준비 연구-은퇴준비 역량과 은퇴준비 영역별 인식 및 실태를 중심으로

저자 : 조소현, 최현자

발행연도(출간연도) : 2023년

저널명(출판사명) : Financial Planning Review

권호사항(ISBN) : 16(3)

초록(내용소개)

본 연구는 은퇴준비의 영역을 여가 및 취미활동, 일 및 사회활동, 사회관계, 주거환경, 마음의 안정, 재무, 건강 등 7가지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은퇴준비에 대한 사회초년생들의 인식과 역량, 그리고 실제로 은퇴준비를 하고 있는 현황을 파악하고 은퇴준비의 인식, 역량, 실태간 구조적 관계를 은퇴준비 영역별로 살펴보며, 은퇴준비 영역별 중요성인식이 은퇴준비 역량과 실태의 관계를 매개하여 사회초년생의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취업한 지 5년 이내로 경제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며 정기적인 월 소득이 있는 20~30대인 사회초년생 5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토대로 연구문제를 해결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초년생은 모든 은퇴준비 영역에서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재무적인 은퇴준비와 관련이 깊은 영역의 중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였다. 은퇴준비에 필요한 역량의 수준은 지식, 기능, 태도 순이었으며, 은퇴준비 실태의 경우 건강과 재무적 영역에서 은퇴준비를 하고 있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초년생의 특성에 따른 은퇴준비인식과 역량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에 비해 여성일수록, 학력이 낮은 집단일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은퇴준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식 수준은 높은 반면 은퇴준비 기능과 은퇴준비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사회초년생의 은퇴준비 영역별 실태와 은퇴준비 역량 및 중요성 인식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은퇴준비 지식 역량은 은퇴준비 실태에 단독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중요성 인식에 영향을 주거나 이를 매개하여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나 은퇴준비에 대한 인식과 함께 고양시킬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은퇴준비지식이 중요성 인식을 통해 실태에 미치는 완전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한 영역은 재무와 건강 영역으로, 앞서 사회초년생들이 가장 필요하고 중요하게 인식하던 영역에서 완전매개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은퇴준비지식은 인식에 영향을 주는 반면, 은퇴준비 태도 역량은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은퇴준비지식은 실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은퇴준비 태도와 기능 역량은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은퇴준비 지식, 태도, 기능의 역량이 종합적으로 은퇴준비 실태로 이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필요한 은퇴준비 영역별로 사회초년생에게 은퇴준비를 위한 다양한 제언을 효과적으로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wareness, capability, and actual status of the retirement preparation among young adults. The study was conducted on 540 young adults aged between 20 to 30 years who had been working for 5 years or less and had a regular monthly incom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young adults were aware of the need for retirement preparation in all areas (leisure, work, social interaction, nest, ballast, finance, health), but they placed a higher priority on areas that were related to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e levels of capabilities required for retirement preparation wer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in that increasing order.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terms of actual status was higher in the areas of health and finance. The study also found that women, participants with lower levels of education, and those with lower incomes ha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preparing for retirement, but had lower level of skills required for the same and statu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status of retirement preparation in different areas among young adults and their capability and awareness showed that knowledge related to preparation for retirement does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he actual status of preparation. However, it has an impact 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r a full mediation effect. Henc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awareness on retirement preparation. The areas where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knowledge through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retirement prepa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the areas of finance and health. Retirement preparation knowledge has an impact on awareness. However, the retirement preparation attitude does not have an impact on awareness. On the other hand, retirement preparation knowledge does not have an impact on actual status. However, retirement preparation attitude and skill often have an impact on the actual statu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apability, knowledge, attitude, and skill for retirement preparation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actual status of retirement preparation. This suggests that a variety of effective options for retirement preparation should be provided to young adults according to the perceived gaps in the necessary retirement preparation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