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는 초고령 시대로 접어들고 있으며, 평균수명의 증가, 저출산과 같은 인구구조의 변화로 국가 차원의 노후보장 지원에는 한계가 있어 개인적인 노후 준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노후 준비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계획과 실행이 요구되는데, 그 기본은 은퇴 이후 생활에 대한 목표설정과 노후생활비 예측 기반 노후 자금 규모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희망 수준이 아닌 현재 소비지출 수준과 향후 줄어들거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조사 8차 자료를 활용하여 중고령 비은퇴자의 예상 노후생활비 금액뿐만 아니라 최소 노후생활비와 적정 노후생활비 비율, 개인 및 부부 기준 노후생활비 비율을 포함한 노후생활비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은퇴에 따른 소비지출 변화의 관점에서 현재 소비지출을 기준으로 1인 및 부부 가구가 노후생활비를 어떻게 예상하는지와 현재 소비 지출 수준 대비 예상 노후생활비 수준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월평균 소득과 지출 수준이 높을수록 예상 노후생활비를 높게 평가하였고, 개인 대비 부부 기준 생활비는 약 1.7배, 최소생활비 대비 적정생활비는 1.4배로 나타났다. 또한, 1인 가구와 부부 가구 모두 최소 노후생활비는 현재 소비지출 수준과 유사하게, 적정 노후생활비는 약 1.3배 높게 예상하였다. 또한, 현재 소비지출 중위수 기준으로 중위수 이하 집단과 초과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중위수 이하 집단에서 현재 소비지출 대비 최소생활비를 약 1.3배, 적정생활비를 약 1.7배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소비지출 대비 예상 노후생활비 평가의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소득이 높을수록 노후생활비를 현재 소비지출 수준보다 더 적게 평가 확률이 높았고, 소득이 낮을수록 노후생활비를 현재 소비지출 대비 더 많게 평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령이 높을수록 노후생활비를 현재 소비지출 수준과 비슷하게 평가하기보다 더 많게 평가할 확률이 높았고, 연령이 낮을수록 현재 소비지출 수준보다 더 적게 예상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중고령 비은퇴자의 특성별 예상 노후생활비 수준이나 개인/부부 및 최소/적정 노후생활비 비율의 결과치는 은퇴 및 노후설계 시 참고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개인 특성에 따른 예상 노후생활비 분석 시 금액 자체뿐만 아니라 현재 소비지출 대비 노후생활비 평가 수준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8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to examine the retirement living expenses evaluation, including the minimum-appropriate retirement living expenses ratio and individual-couple retirement living expenses ratio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non-retirees.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s in the consumption expenditure due to retirement, it included how individuals and couple households estimate retirement living expenses based on their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valuation of the retirement living expense level compared to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level.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comparing the expected retirement living expenses for individuals and couples, the living expenses for couples were approximately 1.7 times those of individuals, and appropriate living expenses were found to be 1.4 times the minimum living expenses. In addition, for both single-person households and couple households, the minimum retirement living expenses were expected to be similar to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level, and the appropriate retirement living expenses were expected to be about 1.3 times higher. Finally,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evaluation of expected retirement living expenses compared to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were analyzed. The higher the income, the more likely it was that retirement living expenses would be assessed as less than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and the lower the income, the more likely it was that retirement living expenses would be assessed as more than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In addition, the older the person,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estimating retirement living expenses as more than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level. The younger the person,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estimating the retirement living expenses to be less than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 level. The results of the expected retirement living expenses level or individual/couple and minimum/appropriate retirement living expenses ratio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retirement plan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analyzing expected retirement living expens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amount itself but also the level of estimation of retirement living expenses compared to the current consumption expendi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