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트렌드를 구성하는 세대 연구에서, 연령효과, 시기효과, 코호트효과를 구분하여 각각이 어떻게 영향력을 미치는지, 또 그 영향력의 차이는 어떠한지에 대한 실증적인 탐구를 수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반복된 횡단면 데이터인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의 소비자행태조사를 이용하여 ‘사회공헌을 많이 하는 기업일수록 좋은 기업이라고 생각한다’는 문항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다. 먼저 탐색적으로 분석한 결과, 사회공헌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에서 연령별, 시기별, 코호트별 평균값 차이를 발견하였다. 특히 Z코호트는 다른 코호트와는 달리 시기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공헌 활동과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의 연관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연령효과, 시기효과, 코호트효과의 상대적 영향력을 구분하기 위해, 연령을 1-수준의 변수로, 시기와 코호트를 2-수준의 변수로 설정해 위계적 교차분류임의효과모형을 분석한 결과, 연령효과와 코호트효과는 정의 효과를 갖고, 시기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연령효과와 시기효과의 상호작용, 그리고 연령효과와 코호트효과의 상호작용은 부의 효과를 가졌다. 특히 전체 데이터에서는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난 연령과 코호트라는 두 변수를 수준을 다르게 두어 교차 분석하였더니 서로 반대의 효과가 있음이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연령효과와 시기효과, 코호트효과는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는 서로 다른 효과이며, 사회공헌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도 다르고, 그 영향의 방향도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층모형의 방법론을 적용해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다양한 시계열 데이터의 활용과 소비자 행태 연구에서의 동태적 접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exploration of how age effect, period effect, and cohort effect influence the trend in generation studies, and what the differences of each aspect impact to the consequences. The questionnaire of “Thought of companies that make mor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s a better company” in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of the Korean Broadcast Advertising Corporation, which is the repeated cross-sectional data, was used to analyze in this study. First, an exploratory data analysis found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 of consumers’ positive percep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by age, period, and cohort. Contrary to other cohorts, Z cohorts, in particular, present that consumers recently tend to evaluate companies more positively when companies engaged more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Next, to distinguish the relative influence of age effects, period effects and cohort effects, the hierarchical APC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 (HAPC-CCREM) was analyzed by setting age as a 1-level variable and period and cohort as a 2-level variable. The age effect and cohort effect had positive static effects, but the period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ge and the cohort had a negative effect, as well a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ge and the period. particularly, cross-analysis of two variables, age and cohort, which are highly correlated, resulted in contrary effects.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age effect, period effect, and cohort effect are different effects, and each of the effects can be measured separately. Each of the effects shows the different results on the size of the impact on consumer perception toward companie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the direction of the impact.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ynamic approaches in the study of consumer behavior and utilizing various time series data in the future by conducting and applying the methodology of the multi-level model in thi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