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한국 가계의 재무건강 측정 지표 개발

저자 :  최현자, 김민정, 한지형, 강성호, 최장훈

발행연도(출간연도) : 2021년

저널명(출판사명) : Financial Planning Review

권호사항(ISBN) :  14(3)

초록(내용소개)

본 연구는 한국 가계 상황에 맞는 재무건강의 개념을 정립하고 객관적 재무상태, 주관적 재무상태에 대한 인식, 재무행동 측면에서 손쉽게 재무건강을 자가 검진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고찰을 통해 재무건강 개념을 정의하고,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두 차례의 자문회의 및 FGI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재무건강을 “가계가 일상적인 지출을 소득으로 감당할 수 있으며, 재무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고, 장기적으로 재무적 성장이 가능한 상태”로 정의하였다. 둘째, 재무건강은 3개의 건강요소의 충족으로 구성하였으며, 3개의 건강요소는 가계가 일상적인 지출을 소득으로 감당할 수 있는지의 ‘기초체력’ 요소, 재무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지의 ‘면역력’ 요소, 장기적으로 재무적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상태인지의 ‘건강지속력’ 요소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재무건강의 ‘기초체력’, ‘면역력’, ‘건강지속력’이라는 위계적 개념을 적용하여 가계의 위험성을 단계별로 판단하고 장단기적 재무 위험도를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체계적인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넷째, 재무건강은 건강진단과 같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진단도구로 활용되도록 구성하였으며, 가계가 스스로 재무진단과 재무상태 구체화를 통한 실질적인 도움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한국 가계의 재무건강 지표가 국내 가계를 대상으로 현재 재무상태의 문제점과 장기적인 지속가능성 등을 진단하여 재무건강을 판별할 수 있는 평가 기준으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financial health as it relates to Korean households and to develop indicators that can easily self-examine financial health in terms of objective, subj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The concept of financial health was def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its feasibility was reviewed by conducting two advisory meeting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for academic exper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financial health was defined as “a state in which households can meet their daily expenses with income, have the potential to overcome financial crises, and achieve long-term financial growth.”
Second, financial health consisted of the satisfaction of three health factors. The three factors of financial health are “basic fitness”, whether households can afford daily expenses with income, “immunity” whether they have the potential to overcome financial crises, and “health persistence”, which is their long-term financial growth potential.
Third, in this study, the hierarchical concepts of ‘basic fitness,’ ‘immunity,’ and ‘sustainability’ of financial health were applied to determine the risk of households and to consider the short- and long-term financial risk. Therefore, financial health can be diagnosed more systematically.
Fourth, financial health was structured to be used as a diagnostic tool that anyone could understand, such as a health checkup, and it was designed so that households could come up with practical strategies through financial diagnosis and materialization of their financial con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financial health index of Korean household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widely used as an evaluation standard to determine financial health by diagnosing problems of current financial conditions and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domestic househo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