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 사회에서 부모에게 주거적·경제적으로 의존하는 캥거루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캥거루족을 새로운 가족 형태로 바라보고, 선행연구에서 서로 상반되는 시각으로 다루어지는 캥거루족 가구의 이면을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캥거루족 가구만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을 소비패턴에 따라 유형화하여 그 이면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캥거루족 가구주의 삶의 만족도와 그 영향요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1차년도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총 507개의 캥거루족 가구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캥거루족 가구는 비캥거루족가구에 비해 총자산, 총부채, 총소득, 월평균 지출액이 모두 유의하게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캥거루족에 비해 피복비, 교통비, 통신비 등 선택재의 지출비중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캥거루족 가구를 소비패턴에 따라 유형화한 결과, 자녀용돈비중심형, 식비주거비중심형, 교육비중심형, 보건의료비중심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들은 가구의 사회인구적·경제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캥거루족 가구의 유형별 가구주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녀용돈비 중심형은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보건의료비 중심형은 전반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식비주거비 중심형은 주거환경 만족도가 낮은 반면, 교육비 중심형은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캥거루족 가구주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각 하위 만족도별 영향요인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캥거루족 소비패턴 유형은 가구주의 주거환경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수입만족도나 여가활동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캥거루족 가구를 소비패턴 및 가구주의 삶의 만족도 등을 다각도로 살펴봄으로써 같은 캥거루족 가구라 할지라도 그 가구의 일반적·경제적 특성에 따라 매우 다른 삶의 질을 보일 수 있음을 밝혔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캥거루족 가구의 ‘다양성’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in Korean society, the number of kangaroos tribe who depend on their parents for housing and financ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ook at the Kangaroos households as a new family form and to examine the backside of kangaroo households from various angles, which are dealt with from opposite perspectives in previous studies. Specifically,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kangaroo households only, categorized them according to consumption patterns, looked closely behind them, and investigated the life satisfac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kangaroo householders. To this end, a total of 507 kangaroo households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21st year Korea Labor Panel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angaroo household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assets, total debt, gross income, and monthly average expenditures than non-kangaroo households, and the proportion of optional materials such as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expen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Kangaroo. Second, as a result of categorizing kangaroo households according to consumption patterns, they were classified into children s allowance centered, food-residential centered, education centered, and health care centered, and each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cio-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head of household by type of kangaroo households, the children s allowance centered type showed high satisfaction overall, while the health care centered type showed low satisfaction overall.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head of a kangaroo famil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each sub- satisfaction level. In particular, the consumption pattern type of the kangaroo tribe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householder s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family relationship, but had no effect on income satisfaction or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kangaroo households can show very different quality of life depending on the gener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by examining consumption pattern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householder from various angles. Ultimatel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a discussion on the ‘diversity’ of kangaroo househo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