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아동 소비자의 온라인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행동에 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저자 :  나종연, 김지혜, 한슬기

발행연도(출간연도) : 2020년

저널명(출판사명) : 한국소비자학회

권호사항(ISBN) :  31(4)

초록(내용소개)

본 연구는 아동의 온라인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 정보주체로서 아동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행동을 살펴보고, 온라인 환경에서 아동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아동은 연령별 온라인 이용행태와 발달수준이 매우 상이하여 온라인상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보호방안을 고려할 때 아동을 세분화하여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상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아동뿐만 아니라 부모도 함께 상호작용하는 가족적 맥락의 접근이 필요하며, 연령에 따라 역량 강화 방안의 주체와 초점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아동은 인지발달이 완성되지 않았으며 정보주체로서 자신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다. 이에 법정대리인의 역할이 중요하나 부모 또한 온라인상에서 개인정보보호 역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역량 강화 교육과 함께 부모의 역량 강화가 요구된다. 넷째, 현행의 법정대리인 동의 제도만으로는 온라인 환경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서비스 사업자의 자율규제 등 추가적인 보완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이용약관에 그림/영상/오디오 등의 다양한 형식을 활용하여 아동의 발달수준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아동 친화적 고지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아동들에게 흥미를 줄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한 개인정보보호 교육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온라인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기존에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아동을 중심으로 연령별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행동을 살펴보았으며, 아동의 발달수준 및 역량을 고려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ildren’s perception and responses to online privacy protection of Koreans in order to derive the policy implications for protecting children’s online privacy as consumers. The focused group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with 27 participant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opinions regarding online privacy. In addition, the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the online surveys have been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objectivity of the results with 617 completed responses from October 29 to November 4, 2019. The major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online usage patterns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age of children. This means that the government should apply a policy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is subdivided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online usage behavior. On top of that, in a similar way of above statement, the involvement and control of parents in online use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ir child’s age. In the case of early childhood and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online privacy education through family literacy centered on interaction with parents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higher grad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 for the online privacy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empowered their own competencies. Another point is that both the cognitive developments of children and the ability to protect their personal information as an information subject have not been fully developed. Thus, the role of the legal representative is important; however, the competencies of parents to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in online is low. As a result of the above statement, parental competency education for online privacy is required along with child competency education. Furthermore, the current legal representative consent system is diffic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protecting children’s online privacy in the online environment, indicating that additional the supplementary policy is needed to reflect this reality. Even though it is not an online service provider directed to children, that is targeted to children are necessary to consider their own responsibilities and roles in child protection. Lastly, children were found to have difficulty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privacy policy. Significant considerations are required on how to provide privacy policy formats so that children can choose suitable types dependence on their development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