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이 스마트워치 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 관성의 조절효과

저자 :  이진명, 박서니, 나종연

발행연도(출간연도) : 2018년

저널명(출판사명) : 소비문화연구

권호사항(ISBN) : 21(2)

초록(내용소개)

본 연구의 목적은 IT와 패션이 결합된 융복합 제품으로서 스마트워치 제품속성에 대한 인식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을 매개로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이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혁신적 대안이 존재함에도 현상을 유지하려는 경향으로서의 관성(inertia)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스마트워치를 보유하지 않은 20대에서 40대 소비자 409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및 다집단 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워치의 적합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프라이버시 위험은 지각된 유용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유용성은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자인과 이미지 고양은 지각된 즐거움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즐거움은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분석을 통해 지각된 유용성과 즐거움이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관성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본 결과, 지각된 즐거움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관성이 높은 집단에서 관성이 낮은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능적 유용성과 정서적 즐거움이 소비자의 스마트워치 수용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히고, 특히 관성이 강한 소비자에게는 새로운 기술 수용에 있어 유용성보다 즐거움이 보다 중요한 동기일 수 있다는 점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ption of product attributes of smartwatch on the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by mediating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on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are moderated by consumer inertia as a tendency to maintain the status quo. We develope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product attributes and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409 respondents in their 20s and 40s who did not have smartwatch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tibility of smartwatch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rivacy risk had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Second, design and self-image enhance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adopt smart watch.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ertia in adopting smartwatch through multigroup analysis, the effect of perceived enjoyment on the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was significantly stronger in the group with high inertia. This study shows that enhancing both perceived usefulness as functional motivation and perceived enjoyment as emotional motivation is important for consumers’ adoption of smartwatch, considering smartwatches have both attributes of IT devices and fashion products. Moreover, this study implies that perceived enjoyment can be a more important factor in adoption of new technology than perceived usefulness for consumers who tend to stick to current situation.